“우리는 삶으로 예배합니다.“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이는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니라” (로마서 12:1)
“여러분의 매일의 삶, 일상의 삶(자고, 먹고, 일하고, 노는 모든 삶)을 하나님께 헌물로 드리십시오.” (메시지성경)
“뉴노멀의 시대, 삶의 자리에서 예배하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세상은 뒤집혔고, 새로운 기준이 생기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주일 현장 예배를 드리지 못한 초유의 상황이 몇 달이나 지속되었고, 앞으로도 계속되리라 전망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삶의 자리에서 예배하면 됩니다. 언택트 시대에 우리는 지금껏 관행으로 주장돼 온 잘못된 부분을 되돌아보고, 나와 이웃, 특별히 소외당하는 사람들에게 유익이 되는 새로운 일상을 만들어 가야 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삶으로 드리는 예배입니다.
이를 위해 아래의 원칙을 함께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 시간과 장소를 뛰어넘어 예배의 자리를 사모한다.
기술의 도움(온라인)을 받아들이는 예배든, 가정 단위의 예배든, 혼자 드리는 예배든, 시간과 장소 및 방법에 제한 없이 우리는 하나님께 영적으로 참되게 예배를 드림으로 날마다 하나님의 뜻을 알아가는데 힘써야 합니다.
- 시대의 풍조와 구별된 행동을 한다.
하나님의 뜻을 기준 삼아, 변화무쌍한 시대의 풍조 앞에 우리의 모습을 확고히 하여, 세상과 구별된 삶을 드러내도록 힘써야 합니다.
예배당에 갇힌 신앙 중심에서 삶의 예배 중심으로
- 교회에서 말씀으로 ‘예배하고’
1) 공예배 시간을 사모하며 예배하고
2) 하나님의 뜻을 마음에 담아 훈련한다.
- 삶의 현장에서 사랑으로 ‘예배하여’
1) (코로나)시대의 풍조를 구별하여
2) 삶의 자리에서 사랑의 섬김을 살아낸다.
- 우리의 모습에서 예배가 드러나게 한다.
1) 예식이나 형식의 문제를 행함(doing)이 아닌
2) 삶에서 예배가 되어감(being)에 중점을 둔다.
주일 예배
1) 예배 전
(1) 교사들은 장년 예배에 꼭 참석하도록 하고, 아이들을 맞이하기 전에 먼저 은혜의 자리 가운데 나아가도록 한다.
(2) 장년 예배가 끝나면 각 부서의 교육 공간으로 이동하고, 예배에 필요한 준비를 한다.
(3) 주일 교육에 필요한 교사 교육 시간 및 기도 시간을 갖는다.
(4) 예배 시간 전에 오는 아이들을 사랑으로 맞이한다. 아이들을 안아주거나, 한 주간의 안부를 물어보고 유아·유치부의 경우는 부모들과 꼭 인사를 나누고 자녀들의 전인적 상황을 물어보고, 자녀들이 어떻게 교육부서에서 지내는지 알려준다.
2) 각 부서 예배가 시작되면 아이들과 함께 예배의 자리로 나아가고, 각자 맡은 역할을 담당한다.
3) 각 부서 예배가 폐한 후 아이들이 안전하게 부모들에게 인계될 수 있도록 하고, 모임을 기도로 마무리한다.
교사 교육
1) 전체교사기도회 : 월 1회 교육목사가 10분 기도회 영상을 제작하여 공유.
2) 부장,전도사 회의 : 월 1회 회의. 줌(zoom) 활용.
3) 교사 아카데미 : 년 2회(1,2학기) 미디어 강의를 통해 진행.
4) 교사세미나 : 교사세미나를 통해 교육부서의 사역을 정리.
5) 교회학교 신년부흥회 : 매년 1월 신년부흥회를 통해 교사로서의 뜨거운
열정과 사명감 고취.
6) 적극적 교사심방 : 전, 후반기 대심방.
7) 절기 가정예배서 발간 : 사순절, 대강절 가족 예배를 통한 영성 훈련.
7-1) 사순절 가정예배 : 재의수요일부터 주 1회 가정예배 발간.
(예배지, 영상 제작)
7-2) 고난주간 가정예배 : 가상칠언을 통한 가정예배 기획.
8) 계절학교 : 여름, 겨울 행사 준비 기도 모임.
주중 사역
1) 주중에도 심방이나 전화심방을 통해 아이들이나 가정의 영적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교육목사나 부장 및 반 교사에게 도움을 구한다.
가정 사역
1) 교회교육이 가정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교회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현황들을 가정에 알리고 부모들이 교회교육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을 기획한다.
2) 절기 가정예배를 시작으로 지속적인 가정예배를 권면하여 한 주에 한 번 이상 부모님과 함께 예배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2-1) 성경필사, 성경통독을 아이들과 함께 진행
(성경필사는 표준새번역으로 진행, 성경통독은 드라마 바이블로 진행)
부서 사역배치
교육목사 : 박영진목사
교회학교장 : 박근수장로
교무부장 : 최경안권사
부서 | 교역자 | 담당부장 | |
새싹부 | 유아부 | 곽미정 간 사 | 탁유미 권사 |
유치부 | 고문희 권사 | ||
어린이부 | 어린이1부 | 김동명 전도사 | 곽우영 권사 |
어린이2부 | 김경숙 권사 | ||
청소년부 | 김요셉 전도사 | 황규린 권사 |
1월 | 교사기도회 / 신입생 환영회 / 교사 신년부흥회 / 교사헌신예배 / 부장회의 |
---|---|
2월 | 교사기도회 / 겨울성경학교 및 겨울수련회 / 전도사,부장회의 |
3월 | 교사기도회 / 교사 아카데미 / 교회학교 전도의 달 / 부장회의 |
4월 | 교사기도회 / 부활주일 / 교사산상기도회 / 전도사,부장회의 |
5월 | 교사기도회 / 어린이주일(유아세례) / 스승의 주일예배 / 부장회의 |
6월 | 교사기도회 / 여름성경학교를 위한 기도회 / 전도사,부장회의 |
7월 | 교사기도회 / 여름성경학교 및 여름수련회 / 부장회의 |
8월 | 교사기도회 / 청소년부 세례 / 전도사,부장회의 (상반기결산) |
9월 | 교사기도회 / 교육진흥주간 / 교회학교 전도의 달 / 부장회의 |
10월 | 교사기도회 / 교사 아카데미 / 후반기 교역자 세미나 / 전도사,부장회의 |
11월 | 교사기도회 / 추수감사주일(총력전도주일) / 교사세미나 / 부장회의 |
12월 | 교사기도회 / 성탄감사예배 및 축제 / 부서별 수료예배 |